건축지식/지정공사

장비주행성 검토보고서 작성

건설 LAB 노트 2025. 6. 7. 18:01
728x90

 

건설공사 지정공사 시 장비주행성 검토보고서 작성 시

지반의 지내력 검토가 중요한 이유

 

건설공사에서 대형 장비를 투입하는 지정공사는 항상 장비주행성 검토보고서가 요구됩니다.

특히 중장비의 이동경로를 계획할 때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 바로 **‘지반의 지내력(Safe Bearing Capacity)’**입니다.

오늘은 장비주행성 검토보고서를 작성할 때 왜 지내력 검토가 중요한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왜 지내력 검토가 중요한가?

중장비는 수십 톤의 자중과 작업 하중을 지반에 직접 전달합니다.
이 때 지반이 이를 견디지 못하면 침하, 궤적 이탈, 전도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 장비들은 지내력 검토가 필수입니다:

  • 크롤러 크레인 (주행 시 선형 하중)
  • 타워크레인 설치 시 주행로 보강
  • 파일 드라이버, 콘크리트 펌프카
  • 대형 모듈 운반장비 (SML, SLT 등)

따라서 장비가 지나가는 경로마다 지반의 허용지내력을 반드시 산정하고, 부족 시 보강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2. 지내력 검토 시 주요 검토항목


검토 항목 설명
장비 자중 및 하중산정 장비 총중량, 휠/트랙 접지면적
지반조사 결과 평판재하시험, SPT, CPT, 현장 표준관입시험 등
허용지내력 산정 현장조사 기반 안전율 고려
침하량 예측 단기/장기 침하 검토
주행 시 하중분포 이동 시 트랙 압력, 선형 하중 분석
보강 필요성 검토 매트 설치, 쇄석 보강, 철판 포설 등
 

3. 실무 작성 시 보고서 구성 예시

① 공사 개요 및 목적

  • 지정공사 개요, 장비 반입 목적

② 장비 제원 및 하중 산정

  • 크롤러크레인 모델명, 자중, 트랙 폭, 회전반경, 하중중심

③ 지반조사 결과

  • 현장 지반조사 성과표, N치, 지층 분포

④ 허용지내력 검토

  • 계산식, 시험결과 적용, 보수계수 적용

⑤ 주행로 지반 보강계획

  • 쇄석 포설 두께, 철판 크기, 매트배치 계획

⑥ 안전조치 및 모니터링 계획

  • 주행 중 실시간 침하관측 등

4. 지내력 산정 간단 예시

예) 크롤러 크레인 자중 300톤, 트랙 면적 20㎡ →
지반 접지압력 = 300,000kg / 20㎡ = 15t/㎡

지반조사 결과 허용지내력 12t/㎡ →
보강 필요 → 쇄석 30cm + 철판 포설 계획 수립


5. 실무 TIP

  • 보수적으로 산정하라
    → 예상보다 보수적으로 산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 지반조사 생략 금물
    → 기존 설계자료만 참고하고 현장조사 누락 시 사고 위험.
  • 보강재료 시방서 준수
    → 철판, 쇄석, 매트재 등 규격 엄수.

마무리

장비주행성 검토보고서 작성 시 ‘지내력 검토’는 단순한 서류작성 단계가 아니라,
사고를 막고 공기를 지키는 가장 핵심적인 안전계획입니다.

실제 현장에서는 이 검토서 하나로 인하여

  • 크레인 전도 사고를 예방하고
  • 장비 진입 지연을 줄이며
  • 설계변경 승인까지 원활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장마다 반드시 정확한 지반조사 → 지내력 검토 → 보강계획 수립의 순서를 철저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