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지식/철근콘크리트공사
여름철 콘크리트 타설 관리 최종 가이드 (KCS 기준 2025 실무편)
건설 LAB 노트
2025. 6. 9. 23:44
728x90
콘크리트 타설은 여름철에 가장 까다로운 공정 중 하나입니다.
고온 환경은 수분 증발, 급격한 수화반응, 강도저하, 균열 발생 등 다양한 품질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토교통부 국가건설기준(KCS)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를 기반으로,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여름철 콘크리트 타설 관리법을 정리합니다.
1️⃣ 여름철 콘크리트 타설의 위험성
문제 | 원인 | 결과 |
수분 증발 | 고온·저습 | 플라스틱 수축균열 발생 |
수화속도 증가 | 고온 | 초기강도 상승 → 장기강도 저하 |
슬럼프 손실 | 고온 + 운반시간 | 작업성 저하, 콜드조인트 발생 |
2️⃣ KCS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 적용 기준
📌 고온기 작업 정의
- 외기온 25℃ 이상 → 고온기 작업으로 분류
- 25℃ 미만 → 일반 작업으로 관리
📌 작업시간 기준 (비비기 → 타설 완료까지)
외기온도 | 최대 허용 시간 |
25℃ 이상 | 1.5시간 (90분 이내) |
25℃ 미만 | 2시간 이내 |
📌 레미콘 출하 온도 기준
- 출하시점 콘크리트 온도: 30℃ 이하 유지
📌 운반시간 기준 (품질시험규정 기준)
- 운반시간 원칙: 90분 이내
- 장거리·특수현장 → 감리자 승인시 120분까지 가능
운반시간과 작업시간은 다르며, 비비기 → 타설완료까지의 시간 기준이 품질평가의 핵심입니다.
📌 초기 양생 기준
- 피복양생 즉시 실시
- 살수양생 병행 → 최소 5~7일 유지
- 양생온도: 5~35℃ 유지
📌 혼화제 활용
- 감수제, 지연제,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적극 활용
- 급격한 수화속도 억제 및 온도상승 방지
3️⃣ 시간대별 타설계획 수립
시간대 | 외기 온도 | 타설 적합성 | 관리 대책 |
06:00~10:00 | 20~26℃ | 최적 | 적극 타설 |
10:00~13:00 | 26~30℃ | 주의 | 양생 및 살수 준비 |
13:00~16:00 | 30~34℃ | 위험 | 작업 축소, 특별관리 |
16:00 이후 | 32℃ 이상 | 매우 위험 | 가능하면 작업 지양 |
4️⃣ 현장 실무 관리 체크리스트
✅ 출하온도 30℃ 이하 확인
✅ 운반시간 사전조정 → 필요시 감리승인 확보
✅ 거푸집·철근 사전 살수
✅ 타설 즉시 피복양생 적용
✅ 살수양생 최소 5-7일✅ 슬럼프 손실 25mm 이내 관리✅ 비비기-타설 종료까지 시간 철저 준수
✅ 결론
여름철 콘크리트 타설 성공의 핵심은
“시간, 온도, 양생” 철저 관리입니다.
- 비비기~타설완료까지의 시간 철저 준수 (25℃ 이상 시 1.5시간 이내)
- 출하온도 30℃ 이하
- 초기 양생의 신속한 개
👉 이 3가지를 지키면 여름철에도 충분히 고품질 콘크리트 확보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