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지식/철근콘크리트공사3

2025년 1월부터 비 오는 날 콘크리트 작업 기준이 변경됩니다 강우 시 타설 금지 원칙부터 예외 절차까지, 현장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최신 기준 안내 ☔ 비 오는 날 콘크리트 타설, 이제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 개요: 왜 비 오는 날 콘크리트 타설이 위험한가? 콘크리트는 배합설계에 따라 **물-시멘트비(W/C)**가 엄격하게 조절되며,이 균형이 무너지면 강도 저하, 내구성 약화, 철근 부착력 저하,나아가 구조물의 전체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특히 강우 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동시 발생합니다: 배합비 교란 → 블리딩(Bleeding), 레이턴스 발생초기 양생 실패 → 미경화 콘크리트 표면 파괴표면 탈락, 균열, 구조적 신뢰성 저하 ■ 국토부 기준 개정 내용 요약 (2025년 1월 1일 시행)구분개정 전개정 후 (2024.12)타설 금지 .. 2025. 6. 15.
철근콘크리트구조 1방향 슬래브 2방향 슬래브 1방향 슬래브 vs 2방향 슬래브 완벽 정리 건축 구조설계에서 **슬래브(slab)**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과 천장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특히 슬래브는 하중이 전달되는 방향에 따라 크게 1방향 슬래브와 2방향 슬래브로 나뉘며,구조 설계와 시공 방식에도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두 슬래브의 개념과 차이를 명확하게 비교해보겠습니다.✅ 1. 1방향 슬래브 (One-Way Slab)📌 개념1방향 슬래브는 하중이 한 방향(보통 짧은 방향)으로만 전달되는 구조입니다.이는 슬래브의 형상비(장변/단변)가 2 이상일 경우 주로 발생합니다.📌 특징주 철근은 짧은 방향에 배근됩니다.긴 방향에는 온도·수축 방지를 위한 배근만 설치됩니다.주로 양측에만 지지되는 구조에서 사용됩니다.📌 적용 사례긴.. 2025. 6. 11.
여름철 콘크리트 타설 관리 최종 가이드 (KCS 기준 2025 실무편) 콘크리트 타설은 여름철에 가장 까다로운 공정 중 하나입니다.고온 환경은 수분 증발, 급격한 수화반응, 강도저하, 균열 발생 등 다양한 품질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국토교통부 국가건설기준(KCS)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를 기반으로,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여름철 콘크리트 타설 관리법을 정리합니다.1️⃣ 여름철 콘크리트 타설의 위험성문제원인결과수분 증발고온·저습플라스틱 수축균열 발생수화속도 증가고온초기강도 상승 → 장기강도 저하슬럼프 손실고온 + 운반시간작업성 저하, 콜드조인트 발생 2️⃣ KCS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 적용 기준 📌 고온기 작업 정의외기온 25℃ 이상 → 고온기 작업으로 분류25℃ 미만 → 일반 작업으로 관리 📌 작업시간 기준 (비비기 → 타설 완료까지)외기온도최대.. 2025.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