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건설자료

2025년 건설공사비지수 현황

by 건설 LAB 노트 2025. 6. 8.
728x90

 

 

📊 2025년 건설공사비지수 현황 및 동향

최근 건설업계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건설공사비지수
2025년에도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현재까지의 공사비지수 추이와 그 배경을 정리해봅니다.
 


2025년 건설공사비지수 현황

 

 

2025년 건설공사비지수 현황

  • 기준년도 : 2020년 = 100
  • 2025년 4월 지수 : 131.00
    → 2020년 대비 약 31% 상승
  • 2025년 3월 지수 : 131.23
    → 전월 대비 +0.16%, 전년 동월 대비 +0.91%

 

 

 

 

2020-2025년 건설공사비지수 추이


최근 몇 년간 상승 추이


연도 상승률
2020 +3.5%
2021 +15.0%
2022 +6.8%
2023 +2.8%
2024 약 +1% 내외
2025 (1분기) +0.9%
 

2021년 이후 급등했던 공사비 상승이 최근 몇 년간은 다소 안정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완전히 둔화되지는 않았습니다.


상승 원인 분석

  • 인건비 상승
    • 건설공사비지수의 약 40%를 차지하는 인건비가 지속 상승 중
    • 2025년 2월 기준 근로자 평균임금이 전년 대비 1.8% 상승
  • 환율 및 수입자재 가격 상승
    • 주요 자재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품목들은 환율 상승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음
  • 자재비 전반적 상승세 유지
    • 철근, 시멘트, 목재 등 일부 품목에서 가격 변동 지속

정부 정책 방향

국토부는 2025~2026년 연간 공사비 상승률을 2%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과도하게 상승했던 공사비 상승폭을 일정 부분 안정시키려는 의도가 반영되고 있습니다.


실무 적용 Tip

  • 계약 시 물가변동 조정 조항 필수 반영
  • 장기 프로젝트일수록 공사비 추정 시 여유계수 적용 필요
  • 조달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의 참고자료 적극 활용

마무리

2025년에도 건설공사비지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인건비와 자재비의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당분간 공사비 부담은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업계획 수립 및 계약 관리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