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2025년 건설공사비지수 현황 및 동향
최근 건설업계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건설공사비지수가
2025년에도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현재까지의 공사비지수 추이와 그 배경을 정리해봅니다.
2025년 건설공사비지수 현황
- 기준년도 : 2020년 = 100
- 2025년 4월 지수 : 131.00
→ 2020년 대비 약 31% 상승 - 2025년 3월 지수 : 131.23
→ 전월 대비 +0.16%, 전년 동월 대비 +0.91%
최근 몇 년간 상승 추이
연도 | 상승률 |
2020 | +3.5% |
2021 | +15.0% |
2022 | +6.8% |
2023 | +2.8% |
2024 | 약 +1% 내외 |
2025 (1분기) | +0.9% |
2021년 이후 급등했던 공사비 상승이 최근 몇 년간은 다소 안정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완전히 둔화되지는 않았습니다.
상승 원인 분석
- 인건비 상승
- 건설공사비지수의 약 40%를 차지하는 인건비가 지속 상승 중
- 2025년 2월 기준 근로자 평균임금이 전년 대비 1.8% 상승
- 환율 및 수입자재 가격 상승
- 주요 자재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품목들은 환율 상승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음
- 자재비 전반적 상승세 유지
- 철근, 시멘트, 목재 등 일부 품목에서 가격 변동 지속
정부 정책 방향
국토부는 2025~2026년 연간 공사비 상승률을 2%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과도하게 상승했던 공사비 상승폭을 일정 부분 안정시키려는 의도가 반영되고 있습니다.
실무 적용 Tip
- 계약 시 물가변동 조정 조항 필수 반영
- 장기 프로젝트일수록 공사비 추정 시 여유계수 적용 필요
- 조달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의 참고자료 적극 활용
마무리
2025년에도 건설공사비지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인건비와 자재비의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당분간 공사비 부담은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업계획 수립 및 계약 관리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건설 > 건설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 개정고시 (2025.06.12) (0) | 2025.06.29 |
---|---|
국토교통부 건설근로자 기능등급제 시행(21년 5월), 건설기능등급 최초교육, 증명 발급(건설기능플러스) (0) | 2024.02.14 |
공정거래위원회 표준하도급계약서 개정(23년 12월) (0) | 2024.02.02 |
2024년 국토교통부 정비사업 표준공사계약서 배포(24년1월) (2) | 2024.01.30 |
국토교통부 민간건설공사 표준도급계약서 개정(23년 8월), 물가변동 반영, 납품단가 연동제 반영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