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이슈

건설기술인, 왜 ‘인원 수 기준’은 없을까?

by 건설 LAB 노트 2025. 7. 14.
728x90

 

건설기술인, 왜 ‘인원 수 기준’은 없을까?

 

건설현장에서 필수적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인력 중 하나가 건설기술인입니다.
하지만 많은 현장 실무자들은 이런 의문을 품습니다.

 

“왜 품질관리자, 안전관리자처럼 건설기술인(공사관리자)은 인원 수 기준이 없을까?”

 


✅ 건설기술인의 법적 정의

건설기술인은 「건설산업기본법」과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건설산업기본법: 건설공사에 관한 기술이나 기능을 가진 사람
  • 건설기술진흥법: 건설자격·학력·경력을 갖춘 사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한 사람

건설기술인은 직무분야와 전문분야로 나뉘며,
건축 직무만 해도 ▲건축시공 ▲건축구조 ▲품질관리 등 6개 분야로 세분화됩니다.

 


✅ 현장 배치 기준은 ‘1명 이상’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별표5에서는 공사금액에 따라 배치해야 할 건설기술인의 자격 기준은 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설기술인을 1명 이상 배치”
→ ‘1명 이상’일 뿐, 인원 수에 대한 구체적 기준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500억 원 공사에도 자격을 갖춘 건설기술인 1명만 배치해도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습니다.

 


 

⚠️ 품질관리자, 안전관리자와의 차이점

품질관리자, 안전관리자는 「건설기술진흥법」, 「산업안전보건법」별도 법령에서
공사금액에 따라 인원 수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인원 수 기준 유무 배치 목적
건설기술인 ❌ 없음 시공관리, 공정총괄
품질관리자 ✅ 있음 공사 품질 확보
안전관리자 ✅ 있음 작업자 안전 확보
 

🔍 왜 건설기술인 인원 수 기준이 없을까?

 

공사 특성의 다양성

공사마다 규모, 공법, 공정 수, 하도급 구조가 다릅니다.
일률적으로 인원 수를 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업자 책임의 원칙

건설기술인은 발주자나 시공사의 공사관리 책임자입니다.
국가는 자격 요건만 규정하고, 인원 수는 사업자의 자율에 맡깁니다.

원가 절감을 위한 최소 인력 전략

현실적으로 건설사업자는 인건비 절감을 위해
공사관리자도 법적 최소 인원만 배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건설기술인(공사관리자)의 주요 업무

건설현장에서 **건설기술인(공사관리자)**는 공사의 원활한 진행과 품질·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행정적 업무를 수행합니다. 법적 정의에 따라서는 "건설공사의 기술을 가진 사람"이지만, 실제 역할은 매우 넓고 복합적입니다.

 

1. 공정관리

  • 공사 일정표(공정표) 작성 및 주간 계획 수립
  • 작업 순서 및 시기 조율
  • 공기 지연 방지를 위한 작업진행 상황 점검 및 조치

2. 시공관리

  • 도면 및 시방서에 따른 시공 여부 확인
  • 공법 적용 및 시공순서 지도
  • 시공 오류 및 문제 발생 시 기술적 판단 및 대안 마련

3. 협력업체(하도급) 관리

  • 협력업체 작업일정 조정 및 투입인력 관리
  • 계약 범위 내 작업 이행 여부 확인
  • 기술 미비·부실시 재시공 지시 및 지도

4. 자재 및 장비관리

  • 공정에 필요한 자재 수급 계획 수립
  • 장비 투입 일정 관리 및 작업간섭 방지
  • 자재 품질 및 규격 확인

5. 품질관리 협업

  • 품질관리자와 협력하여 주요 구조부재 품질 점검
  • 시험 성적서, 시공확인서류 작성 지원
  • 품질불량 사전 예방 활동

6. 안전관리 협업

  • 안전관리자와 협력하여 작업자 안전 확보
  • 위험 작업 전 안전교육 실시
  • 추락·붕괴 등 재해 예방 조치 참여

7. 대외 협의 및 보고

  • 발주처, 감리단, 지자체와 공사 관련 협의 및 보고
  • 중간 점검, 준공 검측 등 대응
  • 공문서 및 현장일지 작성

8. 문서 및 행정업무

  • 공사일지, 자재검수서, 공정관리표 등 기록 관리
  • 하도급업체 서류 수합 및 정리
  • 감리·발주처 보고자료 작성

 

왜 규모별 건설기술인(공사관리) 인원수에 대한 기준은 없는 것일까요?